하드웨어를 모두 선정했다면 다음으로 선택해야할 것은 운영체제(OS)이다.
상용 NAS를 사용한다면 자사에서 만든 NAS용 OS를 탑재하고 나와 별다른 세팅없이도 바로 사용할 수 있지만 우리는 자작 NAS를 다루고 있기때문에 OS를 선택해야한다.
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OS가 있고 각자마다 장단점이 있지만 필자는 자유로운 설정이 가능한 Ubuntu Server를 이용해 NAS를 구축했다. 이렇게 사용하면 다양한 설정과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APM (Apache2 + PHP + Maria DB) 를 사용해 서버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장점이 있다.
각 OS의 장단점은 아래의 표에 정리해두었으니 사용자가 직접 자기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기 바란다.
OS | 장점 | 단점 |
FreeNAS (NAS4Free) |
설정이 편리함 | UI가 불편함 플러그인 설치가 힘듬 |
Ubuntu Server (Linux) | 높은 자유도 (다양한 APP, 설정가능) 자료를 찾기가 용이 |
설정이 번거로움 |
Windows | 익숙한 OS 불편한 설정 |
높은 사양 요구 |
Xpenology | 설정이 편리함(권한, 공유) 아름다운 UI 플러그인과 APP이 많음 |
자유도가 낮음 해킹의 위험성 업데이트가 불안정 |
개인적으로 NAS를 처음사용하고 우분투에 대해 잘 모른다면 Xpenology를 사용하고 다양한 설정과 CUI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다면 Ubuntu Server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.

This work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-NonCommercial-ShareAlike 4.0 International License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