운영체제 선택을 마쳤다면 (여기서는 Ubuntu Server를 선택했다.)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기본적인 설정과 에디터 설정을 해주어야한다.
Ubuntu Server는 이 곳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Rufus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USB부팅디스크를 만들어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.
(설치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은 검색해보기바란다.)
설치를 마쳤다면 기본적인 설정과 SSH접속설정을 해주어야한다.
저사양 NAS를 구성했다면 기본우분투 Generic커널로 작동시킬시에 입출력에 버벅임이 있고 상당히 느린 경우가 간혹있다
그럴 경우에는
sudo apt-get install linux-lowlatency
명령을 통해 lowlatency커널을 설치할 수 있다.
그리고 우분투 서버를 사용한다면 CLI(Command-Line Interface)를 이용해야하기 때문에 윈도우나 우분투 데스크탑에서 사용하는 에디터를 사용할 수 없다.
그렇기 때문에 nano, vi, vim등의 에디터를 사용해야 하는데 필자는 vim 에디터를 추천한다.
sudo apt-get install vim #vim 설정 파일. 하이라이팅, 인덱스, 공백 칸 수등 설정 vim ~/.vimrc
위와 같은 명령어로 설치와 설정을 할 수 있으며,
set number " 줄 번호 표시 set tabstop=4 " tab을 4칸으로 set ignorecase " 검색시 대소문자 구별하지 않음 set hlsearch " 검색시 하이라이트 set fileencodings=utf-8,euc-kr " 파일인코딩 형식 set bs=indent,eol,start " backspace 키 사용 set ruler " 상태표시줄 커서 위치 표시 set title " 제목 표시 set showmatch " 매칭되는 괄호 표시 set nowrap " 자동 줄바꿈 해제 set wmnu " tab 자동완성시 가능한 목록 표시 syntax on " 문법 하이라이트
설정파일에 위와 같은 값을 입력해 간단한 설정을 할 수 있다.
하지만 Vim을 좀더 아름답고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Plugin을 설치해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,
Vim-bootstrap에 접속해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Vim을 선택후 설정파일을 생성한뒤 ~/.vimrc로 저장해주면 UI와 Syntax등을 설정할 수 있다.
다운받은 generate.vim파일을 USB로 옮기거나 온라인에 업로드한 후 wget으로 다운받은 뒤
mv <gernerate.vim 위치> ~/.vimrc명령어를 통해 간단히 덮어 씌울 수 있다.
설정파일을 저장한뒤
vim
명령어를 실행해보면 plugin설치와 설정을 마친 뒤 아래와 같은 Vim을 만날 수 있다.
Vim에 익숙하지 않다면 이 곳에서 Vim의 사용법을 숙지하기 바란다.

This work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-NonCommercial-ShareAlike 4.0 International License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