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AS에 늘 모니터와 키보드를 장착해 설정한다면 번거롭기 때문에
데스크탑에서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SSH를 설정해 원격으로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좋다.
우분투를 설치할때 openSSH server가 자동적으로 설치되지만
dpkg -l |grep ssh
로 확인해 혹여나 openSSH server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
sudo apt-get install openssh-server
명령어를 통해 openSSH server를 설치해준다.
그 후
sudo vim /etc/ssh/sshd_config
명령어를 통해서 설정파일을 열어 아래와 같이 포트번호라고 적힌 곳을 임의의 숫자로 바꾸어준다. (기본값 22)
변경하지 않아도 사용상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보안상 변경해주는 것이 좋다.
10000이하는 사용되는 포트가 있을 수도 있으니 그 이상의 숫자를 사용하자.
netstat -tnlp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사용되는 포트를 확인 할 수 있으니 이를 피해 적용하도록 하자.
(LocalAddress의 ‘:’뒤의 숫자가 포트라고 생각하면 된다.)
포트변경까지 마쳤다면
sudo /etc/init.d/ssh restart
명령어를 이용해 ssh 서비스를 재시작시켜준뒤,
ifconfig
명령어를 사용해 아라와 같이 나오는 IP주소를 확인한다.
그 후 이 IP주소와 포트를 이용해서 SSH 클라이언트를 이용해 원격으로 접속하면 된다.
- 윈도우 (putty)
- 리눅스
ssh <사용자이름>@<IP주소> -p <포트번호>사용자이름과 암호는 Ubuntu-Server설치할때 설정했던 것을 입력하면 된다.

This work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-NonCommercial-ShareAlike 4.0 International License.